화요일, 10월 24, 2006

이성의 농담에 대하여..

어떤 이들의 글을 보면서 참 어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무엇이 사실인지에 대한 개념없이 객관적 근거지움이라는 어떤 임의적 요령으로 정신을 분석한다고 합니다.

조금 많이 알려진 작가로서는 '에리히 프롬'이 그런 저서를 내놓고 있고 상당히 오래동안 농담해온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 어떤 감리교측 사람도 기독교와 정신분석이라는 책을 써놓고 있더군요.. 그리고 제법 사람들의 손 때가 묻은 것을 보니.. 애독자들이 많았던 것같습니다.

그런데 참 임의적 객관적 근거지움이라는 개념으로 객관성을 말하면서 그 주관의 시간인식에 따른 무의식 세계에 대한 합리성에서 정신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분석한다는 것.. 아주 학문적으로는 새로워보이지만 개연적 합리성의 조미료는 인식적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다머의 극찬을 받았다고 하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저서 중에서도 객관적 근거지움을 말하고 있는데 대륙의 합리론이라고 하는 것이 실재론에 대한 회의적 개념에서 문학적 이성을 실재보다도 앞세우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도 있지만 이해한다고 받을 만한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기독교의 정신을 분석한다.. 가히 안티들의 인식의 자극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은 현실적인 사실이지만 안티들의 불쌍한 인식적 자아의 인식손상과 굴절은 사실을 말하지 못하는 자기 도그마적 병폐에 더욱 깊이 빠지게 될 것이니.. 참으로 정신있는 말을 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말하는 사도 바울의 목소리(행 26:25)의 의미가 무엇인지 증거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참으로 무엇이 실재인가에 대한 절대적 인증적 개념도 없이 개연적 객관적 근거지움이라는 개념만으로 사실 분석과 그에 따른 기독교의 정신을 분석한다.. 자존자도 알지 못하면서 자존자의 정당함을 부여받은 성도들의 인식을 분석한다.. 과연 상식적으로도 정신이 옳지 못한 소리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 발 물러나서 그들도 여전히 이런 농담을 즐기는 가운데 자해하고 있는것에 대하여서 연민을 느끼면서 핑계치 못하는 복음을 받기를 소원하며 또한 증거합니다.


한마디로

임의적 객관적 근거지움이라고 하는 것의 차원에서 존재증명적 개념으로 하나님을 증명할 수 있다는 기만적 확실성을 의지하기 보다는, 자존적 절대자의 재가가 있는 가운데서의 증명보다도 더 확실한 증거를 의지하는 것이 상식적인 측면에서도 부인할 수 없는 근거임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객관성의 자체적 정당함을 말한다고 노력함에 있어서 헤겔이 말하는 철학의 개조나 아펠이 철학의 변형을 말하고 있지만 그것도 보편의 상식적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절대를 판단할 수 있는 당연성은 이미 전제되어질 수 없는 것으로 헛된 합리성의 표류를 말하는 것입니다.



질문을 게스트 북에 남겨주세요
Sign Guestbook

Free Counters